경제24 한국의 경제는 어디까지 무너질 것인가 내수 부진에 무너지는 자영업…“코로나 빚도 못 갚았는데” | KBS 뉴스 내수 부진에 무너지는 자영업…“코로나 빚도 못 갚았는데”[앵커] 한국은행이 전망한 1%대 성장률은 사실상 경제 위기 수준입니다. 자영업자들은 코로나19 때 받은 대...news.kbs.co.kr 심심찮게 보인다.폐업정리임대 아직 내가 사는 동네는 그정도까지는 아닌데옆동네 사는 친구가 하는 말이 외식을 하려고 유명한 맛집을 찾아갔는데연달아 찾아간 세 군데가 모두 폐업이어서그냥 눈에 보이는 곳에 가서 밥을 먹었다는 거다. 예전엔 줄까지 서서 먹는 맛집이었는데요즘 내수부진으로 경기가 좋지 않으니 다들 문을 닫는거다. 그리고 그 빈 공간에는 다음 자영업자가 들어오지 않는다.. 이렇게 심각한 경제위기속에한가하게 퇴사하고 싶다는 생각을 할 수.. 2025. 2. 28. 잘못 알고 계십니다... AI 빅테크 무너진다? 중국AI 딥씨크 논란 | 논문 분석 | NVIDIA, OpenAI는 끝? (안될공학) 딥시크(DeepSeek) R1 모델 분석 및 AI 패권 경쟁에 대한 시사점 **중국의 AI 모델 "딥시크(DeepSeek) R1"**의 등장과 그 기술적 특징, 미국과 중국의 AI 경쟁, 그리고 투자 관점에서의 의미를 심층 분석하고 있다.1. 딥시크(DeepSeek) R1의 등장과 혁신성🔹 딥시크 R1의 주요 특징오픈AI GPT-4를 능가하는 수준으로 평가됨.초기 데이터 없이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 RL)만으로 학습한 모델.MOE (Mixture of Experts) 모델 적용: 특정 작업에 필요한 뉴런만 활성화하여 효율적인 연산 수행.디스틸레이션(Distillation) 기법 적용: 대형 모델의 성능을 작은 모델로 압축하여 유지.오픈 소스: 누구나 접근 가능하여 AI 연.. 2025. 1. 30. 완전 난리났다!! 중국 딥시크 때문에 미국 AI 기업 초비상? (이효석아카데미) 딥 시크의 성능과 특징딥 시크는 오픈AI의 모델과 비교해 비슷한 성능을 내면서도 비용이 매우 저렴함.특히 슈퍼바이즈드 파인튜닝 없이도 의미 있는 추론 능력을 발휘함.AI 모델을 개발하는데 100억 원 정도밖에 들지 않아 가성비가 뛰어남.중국 AI 발전과 미국 제재의 실패미국이 중국에 반도체 공급을 차단했지만, 중국은 효율적인 알고리즘과 특화된 모델을 개발하여 이를 극복함.엔비디아 H100 GPU 약 5만 대를 사전에 확보하여 활용했음.오히려 AI 연구를 더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미국 제재가 실패했다는 평가가 나옴.오픈 소스 vs. 비공개 AI딥 시크는 오픈 소스 모델로, 모든 개발자들이 자유롭게 활용 가능함.오픈AI는 폐쇄적인 모델로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으며, 상업적인 이익을 추구함.딥 시크의 등.. 2025. 1. 30. 트럼프 2.0시대 글로벌 대격변이 시작된다 (박종훈 지음) 책의 마지막 장을 다 읽고 덮었을때 드는 생각은과연 한국에 희망이 있을까 싶었다. 한마디로 "총체적 난국"이다. 비단 트럼프가 집권해서라기 보다는인구 고령화에 초저출생률을 기록하며 청년들이 가고 싶은 좋은 일자리는 점점 사라져서 결국 꿈과 희망을 잃어버리고 집에서 놀고 있는 청년들이 있는 나라거기에 본인들 밥그릇싸움에 피터지는 나라 그런 나라에 희망이 있을까? 정말 80년대 한강의 기적은 아득하게 느껴질만큼너무나도 많은 문제들이 산재해 있음을 느꼈다. 이건 마치 이미 물잔에 물이 가득 담겨 있는데트럼프라는 한방울이 더 떨어뜨리게 되면 모든 물이 와르르 흘러 버릴것 같다. p.98시진핑 체제하의 중국은 정치 권력 강화를 위해 빅테크 산업을 약화시켰고, 공동 부유를 하겠다며 온갖 신산업을 억압했습니다. 자신.. 2025. 1. 27. 점점 더 심해지는 인력난 올해 거의 20군데 제조업체 미팅을 하러 방문을 했었다. 서울 인천 송도 세종 용인 등등다양한 위치에 매출규모도 상이한 회사들이다. 근데 미팅 말미에 이야기해보면 동일하게 이야기하는건모두 인력난을 겪고 있다는 거다. 아무리 오픈해 놔도 이력서도 잘 들어오지 않고후보자가 괜찮아서 면접을 잡아놔도노쇼도 빈번하단다. 어제 아는분과 이야기를 해보니최근에 유럽전시회에 나갔는데, 죄다 나이 지긋한 부장님 급만 출장을 나오셨다고 한다. 물어보니 유럽회사들도 인력난에 젊은 친구들이 들어오질 않아서회사 직원들의 평균나이가 올라가고 있는 거다. 이번에 대한항공을 타면서도 놀랬던건예전엔 다 어린 승무원이었던거 같은데지금 보니 나이 지긋하신 승무원들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러니까 인력난은 비단 내가 속한 산업군에서만 벌어지.. 2024. 12. 27. 환율 1,460원을 넘다 (24년 12월 26일) 오늘 2024년 12월 26일 기준 환율이 1464원이 찍히고 있다. 1,300원이 뉴노멀이라고 말할때가 엊그제 같은데미친 환율을 보고 있는 중이다. 얼마나 원화 가치가 실시간으로 떨어지고 있는지 가늠도 안된다. 2024. 12. 26. 이전 1 2 3 4 다음